티스토리 뷰
Day 2. 자바의 변수에 대해 배웠습니다.
앞에 포스팅에서 다룬 editplus의 설정을 마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https://alldeveloper.tistory.com/4
네이버 개발자 센터(https://github.com/naver/d2codingfont/releases/tag/VER1.3.2)
들어가서 D2codding 이라는 글꼴을 받아설치했습니다.
( 글꼴파일이 없을 경우엔 기본 글꼴 중에 consolas라는 글꼴이 가장 낫다고 하시더군요.)
editplus의 초기설정으로,
1. 도구 > 설정 > 파일 에 들어가셔서
<파일 저장시 백업파일 생성 해제>를 체크해제 했습니다.
(백업파일이 필요하신 분은 그대로 두시면 되겠습니다. 저는 불필요하다고 여겼습니다.)
2. 글꼴에 들어가셔서 편집기,출력창 영역에 12포인트, 앞서 받아두었던 글꼴로 설정해줍니다.
3. 앞 #1 포스팅에서 설명드렸던 코딩 숙지를 위해 eclipse를 안쓰기로 했었습니다.
같은 이유로, 설정&구문강조에 들어가서 자동완성을 체크해제했습니다.
4. 문서템플릿 - java로 설정
5. 사용자도구에 들어가셔서 3가지를 단축키 설정하듯 해둘 것이 있습니다.
5-1. 추가 - 프로그램 - 이름 컴파일
명령 C:\Program Files\Java\jdk1.8.0_201에서 javac
인수 파일네임, 디렉토리 파일 디렉토리, 동작 출력내용캡쳐 로 설정해줍니다.
같은 원리로 실행이라는 단축키를 두개 더 만들어줍니다.
이름: 실행 // 명령 : C:\Program Files\Java\jdk1.8.0_201\bin\java.exe // 인수 : 확장자를뺀파일이름 // 디렉토리 : 파일디렉토리
동작 : 출력 내용 캡쳐 로 설정해줍니다.
( Eclipse 에서 컴파일, 디버킹 버튼으로 간단하게 될 부분이니, 이해할 필요는 없어보였습니다.
editplus 에서는 위 두 가지 기능을 제공하지않아서 직접 단축키로 구현해둔 것 같습니다. )
이름 : 실행2 // 명령 : C:\Program Files\Java\jdk1.8.0_201\bin\java.exe // 인수 : 확장자를뺀파일이름 // 디렉토리 : 파일디렉토리
동작 : 없음
6. 마지막으로 보기 탭에서 사용자 도구모음을 누르셔서 단축키를 툴 창에 띄어줍니다.
코딩 tip! 1.괄호는 열고닫고나서 채워넣는 방식으로 한다.
2.중괄호 다음은 들여쓰기!
개발 툴 (editplus)의 초기 설정이 다되었으니, 본격적으로 자바의 문법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.
( 아! 제가 듣는 곳에서 자바를 다룰 때 사용되는 교재는 '이것이 자바다' 입니다.
참고용으로만 쓰는 것 같긴 합니다.)
오늘 배운 첫 자바의 문법은 변수 입니다.
변수란, 데이터(값, 재료)를 담는 그릇 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.
변수명은 그릇의 이름, 식별자 정도가 되겠지요.
(예약어 : 자바에서 특별한 목적으로 사용되도록 미리 정해진 문자코드)
<식별자 작성 규칙> p.31 참조
1. 문자로 시작한다.
2.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.
3. 영어 대소문자, 숫자, _, $, 한글 등을 사용한다.
4. 첫 글자는 소문자, 두 단어가 붙을 경우엔 두번째 단어에 첫문자를 대문자로 한다. (관례)
5.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.
안되는 예) 1abc, abc-, abc%, abc d 등
4번 사항은 관례로 필수는 아니고, 나머지는 필수 규칙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.
리터럴 : (사전적) 소스에서 직접 입력된 값
(프로그래밍) 값을 나타내는 표기법
-정수 리터럴 : 1234, 321, -10 등
-실수 리터럴 : 3.14, 3.0, 3. 등
-문자 리터럴 : 한글자, 작은 따옴표로 감싸서 표기 ex) '한', 'A', '\n' 등
-문자열 리터럴 : 한글자 이상, 큰 따옴표로 감싸서 표기 ex) "abc", "한국", "대한 민국" 등
-정수의 타입 : byte, short, int, long (정수에서는 int를, 실수에서는 double을 주로 사용합니다.)
-실수의 타입 : float, double
-문자의 타입 : char
-논리의 타입 : boolean
-문자열의 타입 : String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| public class TypeDemo1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 정수타입 : byte, short, int, long // byte b = 1000; 해당 타입이 가질 수 있는 값의 범위를 초과하는 값은 저장할 수 없다. // long타입의 변수에 값을, 담을 때는 정수의 값의 끝에 L을 붙여서 // long타입의 범위에서 그 값을 다루도록 한다.ㅣ // *자바는 모든 정수 리터럴(정수값)을 int의 범위에서 다루려고 한다. long num1 = 10000000000L; System.out.println(num1); int num2 = 1000000; int num3 = 1_000_000; // 정수를 적을 때 자릿수를 표현하는 _를 같이 적을 수 있다. System.out.println(num2); System.out.println(num3); } } | cs |
<정수 타입>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| public class TypeDemo2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 문자 타입 : char char c1 = 'A'; // char c1 = "A"; // 에러 "A"는 문자열이다. char c2 = '\u0041'; // 유니코드 0041번에 해당하는 글자가 c2에 저장된다. char c3 = 65; // 아스키코드 65번에 해당하는 글자가 c3에 저장된다. System.out.println(c1); System.out.println(c2); System.out.println(c3); System.out.println("정보처리 시험에 \"합격\"하셨습니다."); System.out.println("123\t123\n\n123"); } } |
<문자 타입>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| public class TypeDemo3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 실수 타입 : float, double byte b = 10; double num1 = 3.14; // 모든 실수는 double 범위에서 판단된다. float num2 = 3.14f; // 실수 끝에 f를 붙이면 float 범위에서 판단하게 한다. System.out.println(num1); System.out.println(num2); } } | cs |
<실수 타입>
-변수의 선언 ( =그릇 만들기)
이름 홍길동, 나이 30, 키 177.7
=> 그릇의 타입에 맞게 변수명(이름표)를 달아서
String username;
int age;
double height;
-변수 초기화 (= 만들어진 그릇에 채우기)
int age = 30;
String username = "홍길동"; (채울 때 역시, 타입에 맞게!)
double height = 177.7;
코딩tip! - println : 줄바꿈출력
<역슬래쉬 문자>
1. \t : tab문자
2. \b : 백스페이스문자
3. \n : 줄바꿈문자
4. \r : 리턴문자
5. \ : 기호를 그대로 출력할 수 있게 하는 용도 (ex) \" => "를 그대로 출력
여기까지, 오늘의 수업 내용이었습니다.
위에 포스팅한 소스코드 외에, 좀더 자세한 설명들은 첨부해두었으니,
혹시나 아주 혹시나 이 글을 보고 공부하시는 분이 있다면 저처럼 정말 초보를 위해
초보가 초보식으로 정리해두었으니 참조하시길 바랍니다.
'Programming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Web#5 Day 5 반복문 (0) | 2019.02.25 |
---|---|
JAVA Web#4 Day 4 자바의 연산자2 & 조건문 (0) | 2019.02.21 |
JAVA Web#3 Day 3 자바의 형 변환 & 연산자 (0) | 2019.02.20 |
JAVA Web #1 Day 1 자바란? & JDK 설치 (0) | 2019.02.19 |
JAVA Web #0. 자바 웹 개발을 시작하다 (0) | 2019.02.18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Database
- 자바 기초
- sql
- Class
- 스프링
- 비등가조인
- 중앙HTA
- 이클립스
- 프레임워크
- 오라클 문법
- h#
- 자바 독학
- 데이터베이스
- 블록엘리먼트
- API
- 강제형변환
- inline element
- html
- 인라인엘리먼트
- copotter
- 태그
- querybox
- block element
- spring
- 국비
- 자바 국비
- 브라캣
- Oracle
- jhta
- 자바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